김유정 (1908~1937)
농민의 삶과 해학의 관점 | |
- 어둡고 삭막한 농민들의 삶을 희화적 · 해학적으로 그려냄으로써 끈질긴 생명력의 저변을 질박히 펼침 ▶소낙비, 금따는 콩밭, 노다지, 만무방, 봄봄, 동백꽃, 따라지 - 농민의 궁핍한 삶을 초래하고 있는 착취 구조에 대한 비판이나 분노 - 토속적 구어와 생동하는 문체를 바탕으로 해학과 반어의 기법을 통해 농민들의 순수한 삶과 끈질긴 생명력 그림 |
작품 목록
필독 | 해법문학 | 윤희재 전공국어 |
봄·봄 동백꽃 떡 |
동백꽃 떡 만무방 봄·봄 |
금 따는 콩밭 동백꽃 땡볕 만무방 봄·봄 |
동백꽃
「조광」 (1935)
주제 | 산골 마을 청소년기의 순박한 사랑 | |
갈래 | 단편소설, 순수소설, 농촌소설 | |
성격 | 해학적, 토속적, 향토적, 서정적, 서민적 | |
배경 | 시간 | 1930년대 봄 |
공간 | 강원도 산골의 농촌 마을 |
※ 특징
- 토속적 어휘, 사투리, 비속어, 의성어와 의태어 등을 사용한 생동감있는 표현
- '현재-과거-현재' 역순행적 구성으로 전개
- 우스꽝스러운 인물의 행동으로 해학적 분위기를 조성
감자 : 점순이의 '나'에 대한 최초의 애정 표현
닭싸움 : 미움과 애정이라는 이중적 감정 표현
동백꽃 : 화해와 사랑의 분위기 형성
떡
《중앙》(1935)
주제 | 민중의 비참한 삶과 몰인정한 세태 | |
갈래 | 단편소설, 세태 소설, 풍자 소설 | |
성격 | 풍자적, 사실적, 비판적 | |
배경 | 시간 | 1930년대 겨울 |
공간 | 시골 마을 |
※ 특징
- 민중의 비참한 삶을 사실적으로 드러냄
- 1인칭 관찰자 시점과 전지적 시점의 혼선
- 판소리 사설의 서술 기법
떡
굶주림을 채워 주는 음식이면서 가난한 민중들이 추구하는 풍요로운 삶을 상징
봄·봄
「조광」 (1935)
주제 | 우직하고 순박한 데릴사위와 그를 이용하는 교활한 장인 간의 갈등 |
|
갈래 | 단편소설, 농촌소설, 순수소설 | |
성격 | 향토적, 해학적 | |
배경 | 시간 | 1930년대 봄 |
공간 | 강원도 산골 농촌 마을 |
※ 특징
- 시간과 사건의 서술이 역순행적 구성
- 토속어, 방언, 비속어 사용으로 향토성과 현장감을 느낄 수 있음
- 마름(강자)이 머슴(약자)을 착취하는 심각한 수탈 상황을 '데릴사위' 라는 소재를 통해 해학적으로 그려냄
봄·봄의 상징성
갈등의 원인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아 내년에도 유사한 갈등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암담한 현실의 순환적 구조.
금 따는 콩밭
「개벽」 (1935)
주제 | 절망적 현실에서 허황된 꿈과 욕망을 추구하는 인간의 어리석음 | |
갈래 | 단편소설, 사실주의 소설 | |
성격 | 사실주의적, 현실 비판적, 풍자적, 해학적 | |
배경 | 시간 | 1930년대 |
공간 | 강원도 산골 |
땡볕
「여성」 (1937)
주제 | 가난한 사람들의 소박한 꿈과 좌절, 가난으로 인한 비극과 부부 간의 애정 | |
갈래 | 단편소설 | |
성격 | 비극적, 사실적, 해학적, 휴머니즘적 | |
배경 | 시간 | 1930년대 |
공간 | 농촌, 서울 어느 병원 근처 |
만무방
「조선일보」 (1935)
주제 | 식민지 농촌 사회에 가해지는 상황의 가혹함과 그 피해 | |
갈래 | 단편소설, 농촌소설 | |
성격 | 반어적, 비판적, 토속적, 풍자적, 해학적 | |
배경 | 시간 | 일제 강점기 어느 가을 날 |
공간 | 강원도 산골 마을 |
※ 특징
- 간결하고 사실적인 문체와 토속적 어휘를 사용해 생동감 있게 묘사
- 일제 강점기의 농민의 궁핍함을 반어적 기법 통해 표현
상황의 아이러니
응오의 벼를 훔친 사람이 달므 아닌 응오 자신이라는 사실을 독자가 알게 되는 장면은, 표면적으로는 해학적으로 웃음을 유발하지만 이면적으로는 일제 강점기 농촌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고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언어적 반어
겉으로 드러난 말과 실질적 의미 사이에 상반된 관계가 있는 말 (빈정거림, 욕설, 비난 등)
상황적 반어 (구조적 반어)
현재 진행 중인 것으로 미루어 예상되는 상황과는 아주 딴판으로 결말이 드러나도록 장치된 사건이나 과정 (만무방, 운수 좋은 날) 이야기의 발단과 결말이 기대하던 것과 괴리 내지는 상충 관계를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