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06

채만식 (1902~195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더보기
풍자 정신
풍자문학의 가능성 실험 - 한국소설사에서는 드문 경우
- 주로 식민지 상황 자체에 대한 부정을 목표
- 일제 식민지 시대의 현실에서 소외되어 버린 지식인들의 냉소적 관점과 태도
- 당대 사회의 모순을 풍자적 형상화
- 식민지 현실에 대한 부정과 비판 정신
- 전통적 판소리 어조를 현대적으로 재현한 문체에서 더욱 빛을 발함
동반자적 성향 - 1930년대 초기 동반자적 성향 작품을 발표하며 문단적 지위 확보

 

작품 목록

더보기
필독 해법문학 윤희재 전공국어
레디메이드 인생
치숙
탁류
태평천하

민족의 죄인*
미스터 방
맹순사*
논 이야기
논 이야기
레디메이드 인생
미스터 방
치숙
태평천하
치숙
탁류
태평천하

논 이야기
미스터 방
민족의 죄인
허생전

 

레디메이드 인생

《신동아》(1934)

더보기
주제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고통
갈래 단편소설, 풍자소설
성격 자조적, 풍자적, 냉소적
배경 시간 1930년대
공간 경성 (서울)

 

※ 특징

- 당대 지식인의 현실을 상징하는 제목을 통해 주제 의식을 직접적으로 드러냄

- 인물을 주로 익명으로 처리, 당대 현실 암시

 

레디메이드는 기성품이라는 뜻으로 고등 실업자들을 양산할 수밖에 없었던 식민지 현실을 상징. 주인공 이름인 P는 기성품으로 만들어진 제품처럼 당대 사회에서 양산된 지식인임을 나타내는 알파벳 기호라 할 수 있다.

 

치숙

『동아일보』(1938)

더보기
주제 지식인이 정상적으로 살 수 없는 사회적 모순과 노예적 삶의 비판
일제에 순응하려는 '나'와 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아저씨와의 갈등
갈래 단편소설, 풍자소설
성격 풍자적, 반어적, 고발적
배경 시간 일제 강점기
공간 군산과 서울

 

※ 특징

- 반어적인 대화체와 경어체의 사용 (대화적 문체를 통한 가치관 비교)

- 속어나 비어 등을 많이 사용

- 주인공인 소년이 혼자 말하는 형식으로 일관 (신빙성 없는 서술자, 현실의 이중적 풍자)

- 풍자의 심층화를 통해 식민지 사회의 상황을 역설적으로 드러냄

 

이중의 풍자성

채만식 소설의 아이러니는 그가 부정적 인물을 소설 전면에 내세우고 긍정적 인물을 후면에 내세우거나 희화화하는 데서 얻어진다. 아울러 작가가 내심 긍정적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쪽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물의 입을 빌려 희화적으로 묘사한다. 〈치숙〉에서도 아저씨를 희화적으로 묘사하지만 실제로 풍자가 되는 대상은 '나'이다. 그러면서 '나'의 논리를 명쾌하게 반박하지 못하는 '아저씨'의 한계도 지적하고 있다. 

 

탁류

『조선일보』(1937~38)

더보기
주제 한 여인의 비극적인 삶을 통한 식민지 시대의 어둡고 혼탁한 현실 비판
갈래 장편소설, 연재소설, 세태소설
성격 세태 풍자적
배경 시간 일제 강점기
공간 금강과 군산항, 서울

 

※ 특징

- 기본적, 풍자적, 냉소적 문체 사용

- 부분적으로 해학적 표현, 풍부한 토속어의 구사, 입심 좋고 구성진 맛을 느끼게 하는개성적 문체

- 배경 묘사를 통한 사건 전개 암시

- 전지적 작가가 개입하여 사건 해설

- 19개 소제목으로 이루어진 모자이크식 구성

- 등장인물과 공간적 배경을 통해 당시 우리 민족의 비참한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줌

- 심청전 패러디 구조 

 

초봉의 장소 이동

안락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시련과 타락의 과정. 안락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타락이 심화됨.

 

마지막 장의 제목 '서곡'

오페라, 발레 등의 첫 부분에 연주되어 후속부의 도입 역할을 하는 기악곡. 탁류가 찌꺼기들을 흘려보내고 맑은 물이 흐르는 시대가 오리라는 희망을 암시하는 제목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막연한 기대만을 보여줄 뿐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태평천하

『조광』(1938)

더보기
주제 부정적 인물을 통해서 파악한 한말 개회기 퇴락한 삶의 비판
윤 직원 집안이 세대 간 가치관 차이로 인해 붕괴되어 가는 과정
갈래 중편소설, 풍자소설, 사회소설, 가족사소설
성격 풍자적, 해학적, 반어적, 비판적
배경 시간 1930년대 후반
공간 서울 계동 윤 직원 영감 집과 그 주변

 

※ 특징

- 비유, 과장, 반어적, 희화화 수법을 통한 인물 풍자

- 판소리체 (―겠다요), 경어체(―입니다) 등 독특한 문체 사용 (방언, 구어체, 판소리 사설)

- 치밀한 묘사가 두드러짐 (사실주의 소설적 특징)

- 왜곡된 의식을 지닌 인물을 등장시켜 당대 현실을 반어적으로 풍자

 


미스터 방

《대조》(1946)

더보기
권력에 편승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인간상과 당시의 세태 비판
갈래 단편소설, 세태소설, 풍자소설
성격 풍자적, 해학적, 현실 비판적
배경 시간 광복 직후
공간 서울

 

※ 특징

- 판소리 사설체를 사용하여 서술자의 개입이 자주 나타남

- 풍자와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행적을 사실적으로 드러냄

 

논 이야기

《해방문학 선집》(1946)

더보기
주제 광복 직후의 국가 토지 정책 비판
국가보다는 개인의 이익만 추구하는 소시민적 삶의 태도 비판
갈래 단편소설, 풍자소설
성격 풍자적, 비판적
배경 시간 광복 직후
공간 군산 부근의 농촌

 

※ 특징

- 시간의 역전적 구성을 통해 사건에 입체감 부여

- 인물의 냉소적 어조를 통해 시대 현실 비판

 

민족의 죄인

『백민』 (1948)

더보기
주제 친일 행위에 대한 고백 및 자기비판
갈래 단편소설
성격 사실적, 자기 고백적
배경 시간 해방 공간
공간 서울

 

※ 특징

- 대화가 중심을 이루는 문체로 주제의식을 드러냄

 

- 일제 말 친일 강연과 작품 창작을 했던 자신의 행적에 대해 고백한 자전적 성격을 띤 소설

- 단순한 참회록과는 성격이 다름

- 친일 행위를 하게 된 과정과 배경을 일체 불문에 부친 채 오로지 그 결과를 놓고 단죄를 일삼으려는 사회 분위기와 지식 사회의 풍토 등에 대한 항변 포함

 

- 이전 소설에서의 풍자적 문체를 사용하기보다, 공격성을 자신에게로 굴절시켜 고백을 통한 자기 조소적 문체 보임

- 외부 세계에 대한 비판은 풍자적 문체로 가능하지만 고백적 자기 비판은 웃음보다 진정성을 획득해야 하기 때문

 

 

'Y > 현대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최명익  (0) 2023.04.12
11 김유정  (0) 2023.04.06
09 이효석  (0) 2023.04.06
08 이태준  (0) 2023.04.06
07 박태원 · 이상  (0) 2023.03.23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