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환 (1908~1967)
작품 목록
해법문학 | 윤희재 전공 국어 |
깃발 생명의 서 |
깃발 생명의 서 일월 바위 |
깃발
/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텔지어의 손수건
주제 : 이상향에 대한 동경과 좌절 및 비애
특징
- 역설적 표현 구사
- 대상이 지닌 역동적 이미지를 잘 살림
- 색채 대비를 통한 대상의 선명한 인상 부각
- 구체적 대상으로부터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여러 대상으로 비유 (은유)
- 주어와 서술어의 위치를 뒤바꾸어 표현
생명의 서
/ 나의 지식이 독한 회의를 구하지 못하고, 내 또한 삶의 애증을 다 짐지지 못하여 병든 나무처럼 생명이 부대낄 때, 저 머나먼 아라비아의 사막으로 나는 가자
주제 : 생명의 본질 추구
특징
- 내적 대화와 같은 표현 사용
- 추상적, 관념적 진술 중심
- 역설적 논리로 주제 형상화
- 생경한 한자어 사용
- 남성적 어조로 강한 의지 표출
- 감정을 직설적으로 표출
여기 : 절망의 공간
거기 (아라비아의 사막) : 절대 고독의 공간, 화자의 회의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
'나' : 나의 생명, 원시의 본연한 자태, 화자가 다시 찾아 회복하고자 하는 내적 자아, 정신적 자아
일월
/ 나의 가는 곳 어디나 백일이 없을쏘냐
주제 : 불의와 악에 대한 타협없는 증오와 대결 의지, 본원적 생명에의 지향
특징
- 강렬하고 원색적인 시어(한자어) 및 절대부사 사용
- 영탄과 설의적 표현을 통해 직설적으로 정서 표출
- 극한적 어휘의 사용
1연 | 생명(본연)에 대한 확신 | 생명의 수호 의지 |
2연 | 본원적 생명에 대한 희구 | |
3연 | 애련에 빠지는 치욕 거부 | |
4연 | 정의에 대한 결의 | 고통스런 현실 상황 |
5연 | 의로운 죽음의 모습 | |
6연 | 회한없는 삶 | 삶에 대한 결연한 의지 |
일월
- 화자의 삶의 길을 비추어 주고, 정신적 · 이념적 지향이 되어주는 밝음과 광명의 표상
- 해와 달로서 모든 생명 현상과 생명체들에게 생명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생명력의 원천
- 하늘 높은 곳에서 화자를 내려다보고 보살피는 거룩한 존재
바위
/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 아예 애련에 물들지 않고 희로에 움직이지 않고 비와 바람에 깎이는 대로
주제 : 허무 초극의 의지, 생명(현실)의 허무 의식 극복
특징
- 어렵고 생경한 한자어를 많이 사용
- 수미상응 구조
- 단호하고 결의에 찬 어조
- 대상을 의인화하여 표현
바위
- 내적 감정에 좌우되지 않는 존재
- 외적 환경이나 상황에 흔들리지 않는 존재
- 현실의 모든 문제를 초극한 완전하고 완벽하며 이상적인 존재
유치환이 추구하는 허무
현실적 삶 속에서 인간이 얽매여 살아갈 수밖에 없는 모든 것들, 즉 감정이나 생명에의 집착과 구속 같은 것들로부터 벗어나는 상태. 현실적 삶에 대한 시인의 부정적 인식이 깔려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삶으로부터 벗어난 현실 초극적인 삶을 시인은 강한 의지로 추구한다.
즉 그는 사람의 삶 어디에나 있는 뉘우침, 외로움, 두려움, 번민 등의 일체로부터 벗어난 어떤 절대적인 경지를 갈구했으며 그 해결의 길은 일체의 생명적인 것에 대한 허무주의적 자각에서 찾았다. 그에게 있어 허무 의식은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현실 초극적 삶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주의시 : 인간의 의지적인 측면을 내용으로 다루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