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09

 

이광수 (1892~1950)

 

더보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시기 대표작 특징
1910년대 무정, 개척자, 윤광호 - 기존 도덕과 윤리에 대한 강렬한 비판자로 등장
- 근대주의적인 새로운 가치관과 세계관 역설
- 철저하게 진화론적 사고에 토대를 두고 있는 주장
1920초 - 1930초 재생, 마의태자, 단종애사, 흙 - 상해에서 귀국해 문필 활동 재개
- 윤리 중심주의적 색채
- 재생 : 무정에서 나타났던 근대주의적 사고 반성
1930 중반 이후 이차돈의 사, 사랑, 원효대사 - 불교적 경향이 강하게 드러남
- 인과응보를 강조하는 대승적 경향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이광수의 계몽 의식

1. 한국 근대소설 양식의 정착

3·1 운동 전후
- 자아의 각성에서부터 식민지 상황에 놓인 현실 문제에 대한 인식으로 관심의 방향 확대
- 작가의 경험적 삶을 소설 세계에서 서사적으로 형상화
- 식민지 상화 속 경제적 궁핍화 현상이 주축
- 고통의 현실에 얽매여 삶의 가치를 상실하는 파멸의 인간상
▶ 사회적 진출 출구가 막혀 좌절하고 있는 지식인
▶ 생존의 기본 요구조차 충족시키기 어려운 생활고에 시달리는 노동자 농민들

 

2. 단편소설의 새로운 전개 양상

단편소설은 이 시기에 근대적 서사양식으로 자리잡게 됨
단편소설 장편소설
- 인생의 단면에 대한 세부적 묘사와 치밀한 구성
- 구성의 단일성과 인상의 통일성을 위한 기법의 세련 요구
- 삶의 전체적 양상을 그려냄
기법과 문체
1) 근대적 산문체 실현
2) 서술적 기법
- 서술 시점에 대한 인식과 확립 : 소설의 근대성 확립을 위한 중요 요건 (서사 담론의 기법적 측면)
- 삼인칭 · 일인칭 소설의 서술방식상 분화가 시작됨

▶ 삼인칭 : 대상의 객관적 서술 위주
▶ 일인칭 : 주체의 내면 분석 가능

----------------- 1.2 이광수 얘기가 아닌듯? 나중에 현대소설사 쪽으로 옮길 것..

 

3. 이광수 문필활동의 의의와 한계

- 한국 문학이 서구적 개념의 문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도달하는 과정과 연결
- 일본 식민지 지배 상황 속에서 다양한 방면에 걸친 전개
- 일본 유학을 통해 확대된 문학에 대한  관심
의의 - 근대 문학 성립 과정에 주도적 영향
- 자아에 대한 각성과 자기 발견을 내세우며 문학의 독자적 가치 강조
- 문학이 개인 정서에 기초해 성립되는 것임을 분명히 함
- 문학을 구시대 윤리적 속박과 모든 관념으로부터 해방시키고자

▶ 문학의 근대적 인식과 개인의 발견
▶ 그의 문학적 관심과 태도는 1910년대 현실에서 볼 때 굉장히 새로운 것
한계 -  문학에서 개인적 정서의 문제를 중시하면서도

그것이 근거해야 하는 주체로서의 개인 존재 문제와 그 개인이 근거하는 현실 사회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
▶ 그의 문학적 관심/태도는 한국적 문학 현실에 대한 자각과 비판에 의해 구체화된 것이 아니라, 일본을 통해 얻어들은 서구 문학에 대한 지식의 단편들을 모아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

문학사를 보는 눈 490p

 

무정

《매일신보》 (1917)

더보기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주제 민족 현실의 자각과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열망
자유연애와 민족의식의 고취
세속적 사랑의 계몽적 민족주의로의 승화
갈래 장편 소설, 계몽 소설, 연재 소설
성격 민족적, 계몽적, 설교적
배경 시간 1910년대 개화기
공간 경성, 평양, 삼랑진

 

※ 특징

-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 소설

- 한글 전용의 구어체로 문어체와 서술체 탈피, 거의 완전한 산문적 묘사체 사용

- 유교적 구질서 탈피, 이상주의적 가치관과 과학 문명의 수용에 대한 의지

- 분석적 구성 방식

- 최초로 사실적 표현기법과 성격 창조의 시도, 성과 거둠

- 자아 각성에 바탕을 둔 자유 연애 및 민족주의 등 근대적 사상

 

주인공들의 의식 변화

주인공 이형식은 박영채, 김선형과의 삼각관계로 괴로워하지만 곤경에 처한 수재민을 보고 민족의 현실에 눈 뜨면서 갈등을 해결. 개인적인 갈등에 머무르던 주인공들이 민족을 개화하고 계몽해야 한다는 각성을 통해 갈등 해소.

 

문제적 인물

지식인, 폭넓은 견문을 지닌 인물. 그 인식의 폭이 넓어 당대 사회의 핵심적 문제를 파악하고 세계와 인간의 삶의 관계를 전체성의 차원에서 조망할 수 있는 인물. 즉 자신이 처한 세계의 핵심적인 문제를 파악하는 인식 능력을 갖춘 인물이며 이를 통해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실천 의지를 지닌 인물.

 

'Y > 현대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최서해 · 조명희  (0) 2023.03.16
05 현진건  (0) 2023.03.16
04 염상섭  (0) 2023.03.09
03 김동인  (0) 2023.03.09
02 나혜석  (0) 2023.03.09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