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법문학 | 윤희재 전공국어 | |
정희성 | 숲 저문 강에 삽을 씻고 |
저문 강에 삽을 씻고 |
이성복 | 서해 수세미 앞날 |
|
오규원 | 〈꽃〉의 패러디 프란츠 카프카 |
시인 구보 씨의 일일 프란츠 카프카 |
정희성 (1945)
숲
/ 숲에 가 보니 나무들은 제가끔 서 있더군 제가끔 서 있어도 나무들은 숲이었어
주제 : 공동체적 삶을 향한 소망
특징
- 대화 형식을 통해 친근감 확보
- 반복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소망을 드러냄
- 자연과 인간을 대비해 현대인들의 소외된 모습을 나타냄
저문 강에 삽을 씻고
/ 흐르는 것이 물뿐이랴. 우리가 저와 같아서 강변에 나가 삽을 씻으며 거기 슬픔도 퍼다 버린다.
주제 : 가난한 노동자의 삶의 비애
특징
- 연 구분이 없는 단연시
- 구체적 삶의 경험을 자연물의 이미지와 결합시킴
- 시간의 흐름과 화자의 내면 변화에 따른 시상 전개
- 비판적 주제의 관조적 접근
- 산업화 시대 소외계층 문제를 다룸
강 | 노동자 |
흘러감 | 빈곤한 삶 |
저물어 감 | 생활고에 지침 |
스스로 깊어 감 | 비애가 깊어 감 |
지속되는 삶의 비애 | |
썩을 수밖에 없는 강물 | 가난해질 수밖에 없는 삶 |
흐르는 '강물' / 썩은 강물에 뜬 '달' | 화자 |
변화가 반복적이고 주체적이지 않음 | 하루하루 희망없이 반복적으로 살아감 |
이성복 (1952)
앞날
/ 당신이 내 곁에 계시면 나는 늘 불안합니다 나로 인해 당신 앞날이 어두워지는 까닭입니다
주제 : 숙명적 고통을 수반하는 당신과의 사랑
특징
- 경어체를 활용해 사랑에 대한 화자의 생각을 드러냄
- 사랑에 대한 역설적 인식을 통해 사랑의 본질적 속성을 드러냄
서해
/ 아직 서해엔 가 보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당신이 거기 계실지 모르겠기에
주제 : 당신에 대한 배려와 간절한 그리움
특징
- 역설적 표현을 통해 대상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냄
- 도치법, 활유법, 설의법 등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형상화
- 경어체로 대상에 대한 존경과 배려를 나타냄
수세미
/ 추석 이튿날 아침 수세미나무 잎새는 얼마나 환한다 얼마나 단정한가
주제 : 환하고 단정한 수세미나무 잎새와 이를 잡고 있는 뿌리에 대한 감탄
오규원 (1941~2007)
시인 구보 씨의 일일
/ 오해하고싶더라도제발오해말아요시인도시먹지않고밥먹고살아요시인도시입지않고옷입고살아요
주제 : 생활인으로서의 시인의 삶
〈꽃〉의 패러디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왜곡될 순간을 기다리는 기다림 그것에 지나지 않았다.
주제 : 본질을 왜곡하는 명명 행위에 대한 비판
특징
- 김춘수의 시를 패러디하여 명명 행위에 대한 참신한 관점을 제시함
- 명명 행위의 의미를 철학적 관점에서 깊이 있게 분석함
언어가 지니는 한계
언어는 대상의 본질이나 의미를 온전하게 구현하지 못한다. 언어 자체가 대상이 지니고 있는 본질, 고유성 등을 정확하게 지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언어는 단순히 그 언어 체계 안에서 의미의 틀을 구성할 뿐이다. 따라서 특정한 대상에 이름을 부르는 순간, 그 대상의 본질은 사라지고, 대상은 '이름'이라는 의미의 틀로만 남게 된다.
프란츠 카프카
/ 시를 공부하겠다는 미친 제자와 앉아 커피를 마신다 제일 값싼 프란츠 카프카
주제 :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 현실 비판
특징
- 정신적 가치가 상품화되는 것을 메뉴판 형식으로 표현
- 자조적 어조와 반어적 표현을 통해 현실의 모순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