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1902~1950?)
절제된 정서와 언어의 균제미 | ||
20년대 | 자기 감정의 분출, 감각적인 시 | 시를 통한 자연의 발견 |
30년대 중반 | 종교적 구도의 세계 노래 | |
후기 시 | 동양적 시, 산수시의 새로운 경지 |
[ 시적 지향 ]
- 자신의 주관적 정서를 철저히 배제
- 감각적 언어로 시적 대상을 소묘적으로 그려냄
▶ 자연 그 자체의 공간적 재구성
▶ 인간이 범접하지 못하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 (의존하거나 동화하는 세계 X)
▶ 자연 그대로의 질서와 자연 그대로의 미를 추구
▶ 시를 통해 발견한 자연은 어떤 의미에서 존재 그 자체
작품 목록
해법문학 | 윤희재 전공국어 |
고향 백록담 비 유리창1 인동차 춘설 향수 호수1 |
고향 바다 비 유리창1 인동차 장수산1 향수 |
고향
/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주제 :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고향 상실의 비애
특징
- 수미 상관을 통해 주제 의식 강조
- 자연의 영원성과 인간의 유한함 대조 (산꿩, 뻐꾸기, 흰 점 꽃, 하늘 ↔ 어린 시절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
-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고향의 모습 형상화
- 반복과 대구에 의한 리듬감
바다
/ 오 · 오 · 오 · 오 · 오 · 소리치며 달려가니, 오 · 오 · 오 · 오 · 오 · 연달아서 몰아온다
주제 : 바다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
백록담
/ 절정에 가까울수록 뻐꾹채꽃 키가 점점 소모된다. 한 마루 오르면 허리가 스러지고 다시 한 마루 우에서 모가지가 없고
주제 : 백록담의 신비로움과 탈속의 정신세계에 대한 지향
특징
- 백록담까지 오르는 여정에서 본 장면들을 순차적으로 묘사
- 인간 세상의 질서와 단절된 자연의 평화롭고 순수한 모습을 산문적 어조로 표현
- 주관적 감정 절제, 사물의 인상 담담히 묘사
몰아지경 : 자아와 자연이 합일을 이루는 경지
화자는 몰아의 경지를 체험하면서도 쓸쓸함을 느끼는데, 이는 완전한 합일에 이르지 못한 안타까움의 표현이다.
비
/ 돌에 그늘이 차고, 따로 몰리는 소소리 바람
주제 : 비 오는 날의 정경
특징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
- 주관적 감정 배제, 자연 현상의 감각적 묘사
- 짧은 행과 연의 구분으로 자연스러운 휴지, 여백의 미 조성
유리창1
/ 유리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열없이 붙어 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닥거린다
주제 : 자식을 잃은 슬픔과 자식에 대한 그리움
특징
- 선명하고 감각적인 이미지
- 감정의 절제 (쉼표의 적절한 사용, 현재형 진술, 감각적 이미지)
- 모순 어법의 구사로 시의 함축성 높임
밤 : 아버지의 허탈감과 상실감, 아이가 가 버린 죽음의 세계
유리창 : 화자와 죽은 아이를 단절하는 대상이면서 동시에 만남의 매개체 (이중적 의미)
▶ 안 / 밖
▶ 삶 / 죽음
▶ 이승 / 저승
▶ 단절 / 소통
감정의 대위법(모순형용) : 감정의 조절 또는 절제를 위해서 상호 모순되거나 대립되는 시어를 결합, 감정을 객관화시키는 방식. 대비되는 감각이나 심사(정신상태)를 슬픔 감정과 대위시킴으로써 감정을 절제하는 방법.
인동차
/ 노주인의 장벽에 무시로 인동 삼긴 물이 나린다
주제 : 정신적 고결함을 지키면서 혹독한 현실을 견디는 삶의 자세
특징
- 감정을 절제하며 대상을 객관적으로 표현
- 주로 시각적 이미지의 시어 사용
- 색채 대비
장수산1
/ 벌목 정정이랬거니 아람도리 큰 솔이 배혀짐즉도 하이 골이 울어 멩아리 소리 찌르렁 돌아옴즉도 하이
주제 : 무념무상의 탈속적 세게에 대한 간절한 염원, 피폐한 현실(정신적 위기)을 극복하려는 견인(堅忍)의 정신
특징
- 의고형 어미 사용 (~이랬거니, ~고녀, ~이랸다? ~는다? ~노니) ▶ 일상으로부터 벗어난 신비로운 느낌, 동양적 정신세계와 잘 어울림춘설
/ 문 열자 선뜻! 먼 산이 이마에 차라
주제 : 춘설이 내린 자연에서 느끼는 봄의 생명력
특징
-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 : 봄이 온 것을 생동감 있게 나타냄
- 영탄법 사용 :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향수
/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 리야
주제 : 고향에 대한 그리움
특징
- 참신하고 선명한 감각적 이미지
- 후렴구 반복, 병렬식 구조
- 향토적 소재와 시어
후렴구의 기능 : 각 연의 시상을 매듭짓고 연과 연의 관계를 구별, 동일한 내용 반복으로 운율 형성, 고향에 대한 화자의 그리움 강조, 시 전체의 통일성 부여
호수
/ 얼굴 하나야 손바닥 둘로 폭 가리지만, 보고 싶은 마음 호수만 하니 눈 감을밖에
주제 :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특징
- 대부분 행의 길이를 5자로 맞춤
- 간결한 시어를 통해 간절한 그리움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