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01

 

문학의 감상방법

더보기

1) 내재적 관점 (절대주의적 관점) 형식주의, 구조주의, 신비평주의

어조, 운율, 표현 기법 등 작품 내적인 요소 중심으로 감상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는 오직 작품 밖에 없음

- 작품을 그 자체로 독립된 자족적 세계로 인식

- 작품의 언어적 구조 중시

- 작품을 유기적 존재로 간주

 

2) 외재적 관점

표현론적 관점 생산론적 관점

작가의 창작 의도, 전기적 사실, 심리 상태 등 작가와 작품의 관계에 초점

문학 작품은 작가의 체험,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한 것

 

효용론적 관점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감동과 교훈, 그것을 유발한 요소에 초점

독자는 작품을 읽고 그 의미를 획득하는 주체

 

반영론적 관점 모방론적 관점

작품과 현실의 관계에 초점

작품은 현실 세계의 반영이며, 인간이 살아가는 모습과 현실적 삶을 내용으로 삼음

 

 

문학의 미적 범주

더보기

있어야 할 것 (이상)

   융합 (조화)  ―  상반 (부조화)

있는 것 (현실)

 

 

   
숭고미 있어야 할 것을 중심으로 있는 것을 융합하는 태도
- 객체의 우위, 객체와의 합일 추구 ⇒ 주객의 모순과 융합
- 자연을 인식하는 '나'가 자연의 조화를 현실에서 추구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태도

일상생활에서 벗어난 크고 위대한 것을 추구하는 데에서 오는 아름다움, 고고한 정신적 경지 체험
이상과 현실이 이상을 중심으로 조화
우아미 있는 것을 중심을 있어야 할 것을 융합하는 태도 (처음부터 융합된 태도)
- 주체와 객체의 조화, 순응 ⇒ 갈등과 모순이 없는 상태
- 자연을 바라보는 '나'가 자연의 조화라는 가치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일 때

일상생활에서 오는 작고 친근한 것을 추구, 고전적인 기품과 멋을 드러냄
이상과 현실이 현실을 중심으로 조화
비장미 있어야 할 것을 긍정하고 있는 것을 부정하는 상반
- 객체에 대한 주체의 열세 인정 ⇒ 현실적 장벽, 이상의 좌절
- 자연을 인식하는 '나'가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가 현실적 여건 때문에 좌절될 때

숭고한 이념을 긍정하려는 투쟁에서 오는 아름다움, 한의 표출로 형상화
이상과 현실이 이상을 중심으로 부조화
골계미 있는 것을 긍정하고 있어야 할 것을 부정하는 상반
- 객체에 대한 주체의 우위 주장 ⇒ 이의 제기, 풍자, 조롱
- 자연을 바라보는 '나'가 자연의 질서나 이치를 의미있는 것으로 존중하지 않고 추락시킬 때

구속을 거부하고 삶을 긍정하려는 각성에서 오는 아름다움
이상과 현실이 현실을 중심으로 부조화

 

 

문학 갈래론

더보기

 

     
서정 세계의 자아화 ※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 X

작품 속에 나타나 있는 모든 모습은 서정적 자아의 눈에 비추어진 세게의 모습
자아의 목소리를 통해서만 의미 있게 독자에게 전달
자아의 주관적 감정이 모든 현실의 모습 압도

- 작자와 독자 직접 만남
- 작품 속 자아와 작자 일치 X
- 정서 표출을 위주로 한 언어 구사
서사 자아와 세계의 갈등
과거형
※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으로 전개

사건와 인물을 갖추며 작품 속의 시공간 설정에 제약 없음
작품 외적 자아(서술자)의 개입으로 인한 작품 내적 자아와 세계의 갈등

- 작자와 독자 간접 만남
- 서술자 설정되어 사건 전개
- 사건 묘사와 서술을 위한 언어 구사
자아와 세계의 갈등
현재형
※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 X

무대 상연을 전제로한 대화와 행동, 인물과 작중 시간 및 장소 설정에 제약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 없이 자아와 세계의 갈등

- 작자와 독자 간접 만남
- 서술자 설정 X 직접적으로 사건 보여줌
- 대화와 행동으로 사건 진행
교술 자아의 세계화 ※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으로 전개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을 서술 · 전달
자아와 세계와의 관계에서 작품 속에서 다루어지는 무게 중심은 세계 쪽으로 쏠림
객관적 현실의 바탕 위에서만 가능

- 작자와 독자 직접 만남
- 작품 속의 자아와 작자 일치
- 실용적이고 공리적인 언어 구사

 

 

문학 교육의 관점 및 범주

 

'Y > 문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시가 개념  (0) 2023.10.24
현대 소설 개념  (0) 2023.10.16
현대 시 개념  (0) 2023.10.11
현대소설교육론 2부  (0) 2023.09.28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