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의 감상방법
더보기
1) 내재적 관점 (절대주의적 관점) 형식주의, 구조주의, 신비평주의
어조, 운율, 표현 기법 등 작품 내적인 요소 중심으로 감상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는 오직 작품 밖에 없음
- 작품을 그 자체로 독립된 자족적 세계로 인식
- 작품의 언어적 구조 중시
- 작품을 유기적 존재로 간주
2) 외재적 관점
표현론적 관점 생산론적 관점
작가의 창작 의도, 전기적 사실, 심리 상태 등 작가와 작품의 관계에 초점
문학 작품은 작가의 체험,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한 것
효용론적 관점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감동과 교훈, 그것을 유발한 요소에 초점
독자는 작품을 읽고 그 의미를 획득하는 주체
반영론적 관점 모방론적 관점
작품과 현실의 관계에 초점
작품은 현실 세계의 반영이며, 인간이 살아가는 모습과 현실적 삶을 내용으로 삼음
문학의 미적 범주
더보기


있어야 할 것 (이상)
|
융합 (조화) ― 상반 (부조화)
|
있는 것 (현실)
숭고미 | 있어야 할 것을 중심으로 있는 것을 융합하는 태도 - 객체의 우위, 객체와의 합일 추구 ⇒ 주객의 모순과 융합 - 자연을 인식하는 '나'가 자연의 조화를 현실에서 추구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태도 일상생활에서 벗어난 크고 위대한 것을 추구하는 데에서 오는 아름다움, 고고한 정신적 경지 체험 이상과 현실이 이상을 중심으로 조화 |
우아미 | 있는 것을 중심을 있어야 할 것을 융합하는 태도 (처음부터 융합된 태도) - 주체와 객체의 조화, 순응 ⇒ 갈등과 모순이 없는 상태 - 자연을 바라보는 '나'가 자연의 조화라는 가치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일 때 일상생활에서 오는 작고 친근한 것을 추구, 고전적인 기품과 멋을 드러냄 이상과 현실이 현실을 중심으로 조화 |
비장미 | 있어야 할 것을 긍정하고 있는 것을 부정하는 상반 - 객체에 대한 주체의 열세 인정 ⇒ 현실적 장벽, 이상의 좌절 - 자연을 인식하는 '나'가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가 현실적 여건 때문에 좌절될 때 숭고한 이념을 긍정하려는 투쟁에서 오는 아름다움, 한의 표출로 형상화 이상과 현실이 이상을 중심으로 부조화 |
골계미 | 있는 것을 긍정하고 있어야 할 것을 부정하는 상반 - 객체에 대한 주체의 우위 주장 ⇒ 이의 제기, 풍자, 조롱 - 자연을 바라보는 '나'가 자연의 질서나 이치를 의미있는 것으로 존중하지 않고 추락시킬 때 구속을 거부하고 삶을 긍정하려는 각성에서 오는 아름다움 이상과 현실이 현실을 중심으로 부조화 |
문학 갈래론
더보기


서정 | 세계의 자아화 | ※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 X 작품 속에 나타나 있는 모든 모습은 서정적 자아의 눈에 비추어진 세게의 모습 자아의 목소리를 통해서만 의미 있게 독자에게 전달 자아의 주관적 감정이 모든 현실의 모습 압도 - 작자와 독자 직접 만남 - 작품 속 자아와 작자 일치 X - 정서 표출을 위주로 한 언어 구사 |
서사 | 자아와 세계의 갈등 과거형 |
※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으로 전개 사건와 인물을 갖추며 작품 속의 시공간 설정에 제약 없음 작품 외적 자아(서술자)의 개입으로 인한 작품 내적 자아와 세계의 갈등 - 작자와 독자 간접 만남 - 서술자 설정되어 사건 전개 - 사건 묘사와 서술을 위한 언어 구사 |
극 | 자아와 세계의 갈등 현재형 |
※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 X 무대 상연을 전제로한 대화와 행동, 인물과 작중 시간 및 장소 설정에 제약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 없이 자아와 세계의 갈등 - 작자와 독자 간접 만남 - 서술자 설정 X 직접적으로 사건 보여줌 - 대화와 행동으로 사건 진행 |
교술 | 자아의 세계화 | ※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으로 전개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을 서술 · 전달 자아와 세계와의 관계에서 작품 속에서 다루어지는 무게 중심은 세계 쪽으로 쏠림 객관적 현실의 바탕 위에서만 가능 - 작자와 독자 직접 만남 - 작품 속의 자아와 작자 일치 - 실용적이고 공리적인 언어 구사 |
문학 교육의 관점 및 범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