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01

이문구 (1941~2003)

한국현대문학대사전

필독 해법문학 윤희재 전공국어
관촌수필 /연작
우리 동네 /연작
유자소전
관촌수필
우리 동네 황 씨
유자소전296
관촌수필
유자소전802

 

 

관촌수필 /연작

현대문학 1972~1977

더보기
주제 근대화 과정에서 사라진 전통적인 농촌 공동체에 대한 회고와 아름다움
갈래 장편소설, 연작소설
성격 회고적, 향토적, 자전적, 독백적
배경 시간 1940~70년대
공간 충청남도 보령 관촌 마을

 

※ 특징

- 전후 근대화와 도시화로 인해 해체되어 가는 농촌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려냄

- 향토적 어휘와 고풍스러운 어투 사용

- 1인칭 독백체 서술 (회고적)

 

- 여덟 편으로 구성된 연작소설 (각각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유기적 관계)

 

- 오랜 타관 생활 끝에 고향에 들러 옛 터전을 둘러보며 떠오르는 감상 위주

- 전쟁으로 인해 집안이 풍비박산되고, 주인공이 그 때를 회상하며 불행을 초래한 시대적 의미 형상화

- '수필' : 작품이 하나의 회고담 형식을 취하며, 지난날을 회고하는 에피소드들을 나열하는 가운데 소설적 구조 꾀함

 

제재 상징적 의미
사라진 왕소나무 퇴락해버린 옛날의 고풍스러운 정신
장항선 철로 근대화와 도시화로 인한 마을의 변화
구멍가게 굴뚝 현재에 집착하는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 과거를 망각해버린 결과

 

우리 동네 /연작

1977~1981

더보기

농민들의 모습을 인물 중심으로 서술하여 사건적 연결성은 적은 연작소설이다. 이장이 확성기로 정부 시책을 홍보하고 줏대를 가지고 살려는 ‘동네’ 사람들이 그에 맞서는 식의 농촌 풍경이 작품마다 되풀이된다.

 

서술이 초점자 역할을 하는 한 인물의 경험과 발언 위주로 이루어지며, 크게 몇 개의 장면 중심으로 전개되고, 대체로 결말이 첫 장면으로 되돌아가는 구성을 취했으므로 시간적이기보다 공간적인 형태의 소설이다. 충청도 지역어와 전통적 비유, 속담이 풍부하게 활용되며 산업화, 도시화로 치닫는 1970년대 현실이 전통적 공동체의 상징인 농촌사회를 어떻게 파괴하고 타락시켰는가를 풍자적으로 그려낸다. 또 유신시대에 ‘국가’가 행한 폭력을 민중의 일상에서 섬세하게 묘사해 보여준다.

 

근대화가 경제적ㆍ문화적으로 농촌을 파괴하는 시대 현실을, 사건만이 아니라 공식어(표준어)와 비공식어의 대립이라는 언어적 갈등으로까지 제시한 소설로 평가된다. 농민의 모습이 저항하는 주체로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리동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설제목으로 차용된 성씨의 주인공들은 새로운 시대상황에 재빠르게 편승하기도 하고, 더러는 못마땅해하면서도 마지못해 합류하기도 하는 불특정 다수의 평범한 농민들이다. 이들 보통사람들의 일상적인 대화에서부터 하찮은 몸짓 하나에까지도 순박하면서도 날카로운 현실적 비판이 상징적으로 함축되어 있다.

각 소설의 줄거리 (두산백과)

 

유자소전

세계의 문학 1991

더보기
주제 물질 만능주의에 빠진 현대 사회 비판
갈래 단편소설, 세태소설, 실명소설
성격 전기적, 풍자적, 비판적, 해학적, 향토적
배경 시간 1970년대
공간 서울

 

※ 특징

- 전傳의 형식을 취해 한국 문학의 전통 계승

- 방언을 사용해 향토적 정서를 드러냄

- 비속어를 사용해 대상을 효과적으로 풍자, 비판

- 실명의 인물과 그의 실제 삶을 있는 그대로 적음

- 간략한 일대기적 구성

'Y > 현대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현기영 · 김원일  (0) 2023.06.10
29 황석영  (0) 2023.06.01
27 최인호  (0) 2023.06.01
26 이청준  (0) 2023.06.01
25 김승옥  (0) 2023.05.24
COMMENT